🖱️ CS (7)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Bash를 이용해서 브랜치 생성 및 머지를 해보자! 안녕하십니까코딩하다 늦잠 잔 하프 입니다. 이번에는 Git Bash를 이용해서 브랜치를 생성해보고 머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깃허브에서 새롭게 저장소를 하나 만들어주겠습니다. git remote를 이용하여 저장소와 연결시켜주면 됩니다 😊구글링 또는 이전 글에 정보가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브랜치 생성&삭제브랜치 구조git branch를 이용하여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브랜치는 버전관리를 하기 위해서 만들기 위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회사들을 다녀보면서 구조들을 보아온 결과..아래와 같은 구조를 많이 사용하더라구요.이와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prd└─ dev └─ feat-[이슈 번호] └─ feat-[이슈 번호] ... 아.. GIT Bash로 커밋, 푸시를 해보자! 안녕하세요.커피마시다가 키보드에 쏟은 하프 입니다. 그동안의 Git 명령어를 사용하면서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를 위주로 사용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저장소는 깃허브로 사용을 하겠습니다. 📝 목차 초기 설정git bash깃허브를 설정하다보면 꼭 설치해야 하는 부분은 git bash 입니다.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설치 후 오도록 합시다! 편집기의 경우는 vscode로 하였습니다. git init현재 경로에 깃 저장소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git init으로 설정이 필요합니다.git init을 입력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깃 저장소가 설정이 됩니다. .git 폴더가 생성이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Git Statusgit statusgit status는 현재 untracked에서 tracked로 변환된 목록들.. 0.1 + 0.2 != 0.3 ... ? 안녕하십니까.커피를 내리다가 뜨거워서 놓친 하프 입니다. ☕ 이번에는 0.1 과 0.2 더한값이 0.3 이 아닌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개발자 면접 질문에서도 많이 나오는 질문이기도 하죠! 📝 목차 0.1 + 0.2 != 0.3원인 파악수학적으로 생각하여 보면, 발생할 수 없는 오류일 것 입니다.하지만 컴퓨터의 동작원리로 본다면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간단하게 개발자 모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니 0.30000000000000004 이 나오는걸 볼 수 있습니다.0 이 왜이렇게 많을걸까요 ㅋㅋ .. 데이터 저장 방식우선 컴퓨터가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보통의 언어에서는 float : 32bit, double : 64bit로 되어 있고자바스크립트의 경우 num.. 소수점 진법 변환을 알아보자! 안녕하십니까!오류 고치다가 온 하프 입니다. 👾 이번에는 소수점 변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소수점 변환은 헷갈리는 부분이 많으니 여러번 보셔야할 수 있습니다! 📝 목차 10진수10진수 to 2진수 소수점 0.125(10)을 2진수로 변경해보겠습니다.소수점의 경우는 변환하고자 하는 진수를 곱한 뒤 0으로 끝나면, 마치면 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고 갑시다 ⭐ 0.125에 변환하고자 하는 진수(2)를 계속 곱하여, 올림이 없으면 0을 있으면 1을 차례차례 작성해주면 됩니다. 0.125에서 2를 곱하게 되면0.250, 올림이 없으니 00.250에서 2를 곱하게 되면0.5, 올림이 없으니 00.5에서 2를 곱하게 되면1.0, 올림이 있으니 1 나머지가 없으므로, 종료하게 됩니다!순서대로 나열해주면 0.001 .. 진법 변환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야생에서 등장한 하프입니다! 🌟 기초중에 기초인 진법 변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핵심만 딱!! 알려드리겠숩니다 이거 하나만 기억하고 갑시다. 8진수는 3개씩 16진수는 4개씩 꼭! 📝 목차 10진수 10진수 to 2진수 10진수에서 2진수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2로 계속 나누면 됩니다. 2로 나눈 후 나머지 값들만 찾아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예시는 125를 통해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25을 2로 나눈 후 몫은 62 나머지는 1 62을 2로 나눈 후 몫은 31 나머지는 0 31을 2로 나눈 후 몫은 15 나머지는 1 15을 2로 나눈 후 몫은 15 나머지는 1 7을 2로 나눈 후 몫은 3 나머지는 1 3을 2로 나눈 후 몫은 1 나머지는 1 1을 2로 나눈 후 몫은 0 나머지는 1 몫이 .. 자바스크립트 동작 원리 안녕하세요. 야생에서 등장한 하프 입니다 🫠 프론트엔드라면 꼭 중요한 자바스크립트의 원리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목차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1. 싱글 스레드 (Single-Thread) 싱글 스레드란 프로세스가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처리를 단일 스레드로 직렬 처리하는 프로그래밍 기법 입니다. 요약하면 하나씩 처리하겠다는 뜻 입니다. 자바스크립트 자체는 싱글 스레드가 맞지만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은 싱글 스레드가 아닙니다. 런타임은 또 뭐냐 이럴텐데 지금은 그냥 넘어갑시다. 2. 왜 싱글 스레드를 채택했을까? 자바스크립트는 원래 웹 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려고 만들어진 언어 입니다. 멀티 스레드인 자바는 다소 무거운 면이 있고, 동시성 문제가 존재하다보니 복잡한 시나리오..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을 알아보자! 안녕하십니까, 야생에서 등장한 하프 입니다 🤔 개발자로 일을 하다보니, 브라우저는 어떻게 html, css, js를 인식하고 화면에 보여지는지 궁금해서 제가!!! 알아봤습니다! 너무 방대하고 글이 많다보니,, 요약을 좀 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 목차 브라우저 1. 서론 요약해서 말씀 드리면 브라우저(browser)는 단일 스레드 입니다. 즉, 다른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작업을 실행합니다. 스크롤, 터치와 같은 인터렉션을 보장하지요! 2. 탐색 탐색은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단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용자가 주소 표시줄에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 제출양식(form)을 통해 요청을 할 때마다 발생하게 됩니다. 웹 성능의 목표 중 하나는 탐색하는 시간을 최소화를 목표로 한.. 이전 1 다음